본문 바로가기
국민연금

💰 국민연금 일시금 수령 조건 및 방법 총정리

by 타임플로우 2025. 5. 26.
728x90
반응형

 

국민연금 일시금 신청 수령 방법 블로그글 대표 이미지

 

국민연금은 보통 10년 이상 가입하면 60세 이후 매달 연금으로 받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어떤 분들은 연금 대신 한 번에 일시금으로 받는 방법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국민연금을 일시금으로 받을 수 있는 조건주의사항, 신청 방법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

 

 

 


✅ 일시금 수령 제도 이름은?

공식 명칭은 반환일시금입니다.
국민연금에 가입했지만 매달 받는 연금을 받을 조건이 안 될 경우,
지금까지 낸 금액을 일시불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 반환일시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

국민연금을 일시금으로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입기간이 10년 미만이고, 수령 나이에 도달한 경우

  • 국민연금은 10년 이상 가입해야 매달 연금(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그런데 만 60세 이상(출생연도에 따라 62~65세)이 되었는데도 가입 기간이 10년 미만이라면? → 매달 연금 대신, 그동안 낸 보험료를 일시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2. 해외 이주 또는 국적 상실 시

  • 외국인 근로자 또는 해외로 이주한 국민이 국민연금 가입자격이 사라질 경우,
    본인 요청 시 일시금으로 수령 가능

3. 사망 시 유족이 청구 가능

  • 연금 수령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상태에서 사망한 경우,
    납부자 본인의 유족이 대신 반환일시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반환일시금은 그동안 낸 보험료 전액 + 일정 이자를 포함해 지급됩니다.
다만, 가입 기간과 납부 금액에 따라 수령액은 개인별로 다릅니다.

 

예시) 7년간 국민연금 보험료를 낸 A씨

→ 반환일시금 약 1,200만 원 수령 (납부 금액 + 이자 일부)

 


📝 반환일시금 신청 방법

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https://www.nps.or.kr/main.do

 

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

로그인 후 국민연금 정보를 확인하세요. 국민연금 현황을 자세히 알려드려요 현황 기금 기금 적립금 현황: 2007년 219.5조원, 2015년 512.3조원, 2019년 736.6조원, 2025년 2월 1227.5조원 조성 1,619.5조원 지

www.nps.or.kr

 

2.‘국민연금반환일시금 청구’ 검색

 

3. 청구방법 클릭!

 

 

 

4. 내용 숙지 후 필요 서류 준비 및 제출

 

 

📞 또는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방문하여 직접 신청도 가능합니다.


⚠️ 중요한 주의사항

  • 반환일시금을 받으면 기존 가입 기록은 사라집니다. → 이후에 다시 국민연금에 가입해도 이전 가입기간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 국민연금은 평생 지급되는 것이므로,
    가입기간을 10년 채울 수 있다면 연금 수령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10년 가까이 가입했는데 나이가 된 경우 → 가능하면 임의가입으로 10년 채우는 걸 추천

 


📊 일시금 vs 매달 연금, 어떤 게 더 나을까?

구분 / 반환 일시금 / 노령연금

수령 방식 한 번에 받음 매달 평생 지급
조건 가입기간 10년 미만 가입기간 10년 이상
세금 소득세 없음 일부 과세 가능 (세액공제 여부 등)

 

➡️ 단기 가입자불가피한 상황에서는 일시금이 낫지만,
➡️ 가능하면 10년을 채워 매달 연금 받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유리합니다.

 

 


🎯 국민연금은 꼭 10년을 채워야만 연금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10년 미만 가입자라면 ‘반환일시금’이라는 방법도 있다는 것 꼭 기억하세요.
혹시 부모님이나 지인 중 국민연금을 못 받을까 걱정하신다면,
이 글을 꼭 한번 보여드려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