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주택드림 디딤돌 대출의 원금상환유예제도는 소득 감소, 재해, 질병 등으로 상환이 어려운 청년에게 일정 기간 원금 상환을 미뤄주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 신청 조건, 제출서류, 유예, 이자 납부 방식, 유의사항까지 최신 기준으로 상세 정리했습니다.
📚 목차

1. 제도 개요
원금상환유예제도는 일시적 위기 상황에서 디딤돌대출의 원금 상환만 잠시 미루게 해 연체·신용하락을 예방하는 장치입니다. 이자는 정상 납부하므로 채무이행 의지는 유지하면서, 가계가 회복할 시간을 벌 수 있습니다. 유예 종료 후 미뤄진 원금은 잔여 상환기간에 균등 분산되어 상환스케줄이 재조정됩니다.

2. 지원 대상
- 근로소득자 실직(휴직 포함)
- 사업소득자 폐업(퇴직 포함)
- 육아휴직
- 부부합산 소득 20% 이상 감소
- 본인/가족 질병·상해 등 의료비 지출 증가가 부부합산 소득의 10% 초과
- 정부·지자체 재난적의료비 등 관련 법률에 따라 지원 결정 통보를 받은 경우
- 가족 사망
- 본인 또는 가족이 장애인이 된 경우
- 거주주택 재난 피해
- 이혼
- 출산(신청인 또는 배우자)
- 고용위기지역·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에 거주·근무 중이며 위 1~11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5~11번 사유는 신청일 기준 최근 1년 이내 발생해야 인정
- 12번은 대출 실행 후 6개월 경과 시점이라도 신청 가능
지원 대상 계좌 요건
- 기본: 대출 실행 후 1년 경과된 계좌
- 제외
- 기존주택 처분 조건(미처분) 계좌
- 개인회생·파산·면책 신청 중 계좌
- 연체 이외 사유로 기한이익 상실된 계좌
3. 신청시기
- 연체 전~연체 3개월 미만까지 신청 가능
- 연체 기산: 대출 취급 후 1년 경과 시점부터 계산
※ 연체 전에 먼저 상담·접수하면 절차가 단순하고 지연배상금 발생을 막을 수 있습니다.

4. 유예방식 · 기간 · 이자
- 총한도: 대출기간 중 최대 3회, 합산 3년 이내
- 회차별: 최대 1년
- 유예기간 중 이자: 정상 납부(미납 시 연체 처리)
- 대출만기: 기존 약정 만기는 유지, 유예된 원금은 잔여기간에 분할 편입
연체 전/후 신청 시 유예 개시점
- 연체 전 신청: 수탁은행 승인일로부터 최대 1년 유예
- 연체 후 신청: 미납원리금·지연배상금 등 연체금 전액을 일시상환한 날부터 유예 개시
- 분할상환 불가, 원금 1차 미납일로부터 1년간 유예

5. 제출서류
※ 은행이 요구하는 양식·발급일을 준수하세요(보통 최근 발급분, 일부는 1개월 이내 권장)
① 공통
- 신분증 사본(주민등록증/운전면허/여권 中 택1)
-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필요 시)
② 실직·휴직
-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수급자격 인정명세서(고용센터) 中 택1
- 재직회사 발급 휴직증명서(해당 시)
③ 폐업
- 폐업(휴업) 사실증명
④ 가족 사망
- 사망확인(진단서) 또는 기본증명서
⑤ 장애
- 장애인등록증 사본 또는 장애인증명서
⑥ 자연재해
- 피해사실확인서
⑦ 혼인·이혼
- 혼인관계증명서(상세)
⑧ 의료비·장기요양·의료용구·안경/콘택트·보청기 지출
- 진료비/약제비 영수증 또는 계산서
- 장기요양급여비 납부확인서
- 의료비 영수증(의사 처방전과 품목/모델 등 기재)
- 안경·콘택트렌즈 구입 영수증(사용자 성명·시력교정용 확인)
- 보청기·장애인보장구 영수증(사용자 성명 기재)
- 납입사실 영수증 일체
※ 필요한 경우 은행이 추가 소명자료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6. 주의사항
- 유예는 면제가 아님: 이자는 정상 납부, 원금만 뒤로 미룸
- 유예 후 월 상환액 증가 가능: 예산에 반영
- 연체 후 신청은 반드시 전액 일시상환이 선행되어야 개시
- 유예 종료 1개월 전에 연장/종료 결정
- 허위서류·자격 미충족 시 승인 취소·유예 철회 가능
7. 자주 묻는 질문
Q1. 유예를 쓰면 신용점수가 떨어지나요?
A. 연체를 방치하는 것보다 신용에 유리합니다. 다만 유예 이력은 금융사 심사 참고가 될 수 있어 향후 대출 계획이 있다면 은행과 상담하세요.
Q2. 몇 번까지, 얼마나 미룰 수 있나요?
A. 총 3회·최대 3년이며, 회차당 최대 1년입니다.
Q3. 지금 이미 유예 중인데 또 신청 가능?
A. 유예 종료 1개월 전 마지막 영업일까지, 요건을 계속 충족한다면 연장 신청할 수 있습니다.
Q4. 온라인만으로 끝나나요?
A. 원본 대조·추가 심사 때문에 보통 은행 방문이 필요합니다.
8. 연체를 예방하는 가장 확실한 조치
청년 주택드림 디딤돌대출 원금상환유예제도는 위기 때 원금만 잠시 멈춰 가계 숨통을 틔워주는 제도적 안전판입니다. 총 3회·3년 범위 안에서, 연체 전에 서둘러 상담하고 증빙서류를 완벽하게 준비하면 신용 하락 없이 위기를 지나갈 수 있습니다. 지금 상환이 부담스럽다면 미루지 말고 수탁은행에서 즉시 상담하시길 바랍니다.
상담문의 & 취급은행
- HUG(주택도시보증공사) 콜센터: 1566-9009
- 업무취급은행: 우리은행 1599-0800, 신한은행 1599-8000, KB국민은행 1599-1771, NH농협은행 1588-2100, 하나은행 1599-1111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신혼부부 주택구입대출 디딤돌대출 이용절차 제출서류 신청방법 총정리 (106) | 2025.08.16 |
|---|---|
| 🏡 신혼부부 주택구입대출 디딤돌대출 총정리 (59) | 2025.08.14 |
| 🏡 청년 주택드림 디딤돌 유한책임 대출 총정리 (43) | 2025.08.12 |
| 🏡 청년 주택드림 디딤돌 대출 신청방법 제출서류 총정리 (66) | 2025.08.11 |
| 🏡 청년 주택드림 디딤돌 대출 완벽 가이드 (74) | 2025.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