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 신혼부부 소득기준, 헷갈릴 땐 이렇게 보세요!
“맞벌이인데 소득 기준 넘은 걸까요?”
“세전 vs 세후? 100%? 120%? 도대체 뭘 기준으로 하죠?”
2025년 신혼부부 특별공급을 준비하면서
‘소득기준’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가장 혼동되는 ‘중위소득 기준’, ‘소득 합산법’, 실제 계산 예시까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1. 신혼부부 특별공급 자격 요약
- 혼인기간 7년 이내 (예비부부 포함)
- 무주택 세대주
- 소득 기준 충족 필요
- 민영 vs 공공에 따라 소득기준 상이
✅ 2. 2025 기준 중위소득표 (3인~4인 가구 기준)
가구 수100% 중위소득120%130%
| 2인 가구 | 3,618,000원 | 4,341,600원 | 4,703,400원 |
| 3인 가구 | 4,663,000원 | 5,595,600원 | 6,061,900원 |
| 4인 가구 | 5,721,000원 | 6,865,200원 | 7,437,300원 |
💡 민영주택: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or 120%
💡 공공주택: 중위소득 100%~130% 범위 내
✅ 3. 소득 계산 시 꼭 알아야 할 팁
① 세전 소득 기준
– 급여명세서 기준 총 지급액으로 판단
– 비과세 포함 (식대, 자녀수당 등) 포함 유무는 기관에 따라 다름
② 맞벌이 합산
– 배우자 소득까지 합산해서 판단
– 예비부부도 혼인신고 예정이면 합산 적용
③ 최근 3개월 평균
– 보통 최근 3개월 급여 평균으로 판단
– 프리랜서나 사업자는 소득금액증명원 제출
✅ 4. 실제 적용 예시
사례 A – 맞벌이 3인 가구
- 남편 월 소득: 320만원
- 아내 월 소득: 260만원
- 총합: 580만원
👉 2025년 3인 가구 기준 120% = 약 559만원
👉 초과 → 일반공급 지원 or 잔여세대 노려야 함
사례 B – 외벌이 2인 가구
- 남편 월 소득: 300만원
👉 2인 가구 120% 기준 약 434만원
👉 적격, 특별공급 자격 가능
✅ 5. 자주 하는 질문 (FAQ)
Q.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는 어떻게 증빙하나요?
A. 소득금액증명원, 종합소득세 신고서류로 확인합니다.
Q. 식대 등 비과세 소득은 포함되나요?
A. 일부 공공기관은 포함, 일부 민영은 제외 → 반드시 공고문 확인!
Q. 예비신혼부부도 가능한가요?
A. 혼인신고 예정이면 가능! 단, 계약 전까지 혼인 완료 필요.
✅ 마무리 – 이렇게 기억하세요
📌 신혼특공 소득기준 핵심 3줄 요약
1️⃣ 중위소득 or 도시근로자 평균소득 기준
2️⃣ 맞벌이·세전소득 3개월 평균 기준
3️⃣ 신청 단지의 소득 기준표 반드시 확인!
청약은 작은 수치 차이로 당첨과 탈락이 갈립니다.
준비 단계에서부터 정확하게 소득을 계산하고 기준을 맞추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전략입니다.
728x90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유한책임 총정리 (66) | 2025.08.06 |
|---|---|
| 🏡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총정리 (금리·조건·자격·한도·신청) (62) | 2025.08.05 |
| 🏠 무순위 잔여세대 청약 공략 가이드 (2) | 2025.05.06 |
| 🗓️ 2025 상반기 전국 아파트 분양 일정 캘린더 (9) | 2025.05.05 |
| 🏠 청약통장 해지 전 확인할 점 3가지 (0) | 2025.05.04 |